본문 바로가기
Adsense

google seo h1 태그 티스토리 2개 상관없는가?

by 5cm 한량 2023. 5. 16.

구글 SEO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SEO라는 말이 도대체 무슨 말일까요?  유튜브에서 애드센스 강사들은 예외 없이 구글 SEO에 맞게 글을 써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그렇다면 SEO는 구글이 만든 것일까요?  도대체 google seo 정체가 무엇일까요?  영어로 된 단어를 계속 이야기하니까 전문적으로 보이긴 하지만, 과연 SEO 가 그렇게 전문적인 용어일까요?  구체적으로 google seo h1 태그 티스토리 2개 상관없는지에 대해서까지 탐구해 보겠습니다. 

 

 

검색엔진 최적화란 무엇인가요?

■ SEO의 정의와 목적

 

웹사이트를 최적화하기 시작한 1990년대 중반에 검색 엔진 알고리즘과 사용자 행동 변화에 대한 기술과 전략이 발전했고, 구글은 검색엔진 시장의 지배력이 커서 seo 분야를 대중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SEO 는 Search Engine Optimization, 즉 검색엔진 최적화란 뜻입니다. 따라서 구글 seo는 구글이라는 검색엔진에 최적화시키는 위해서 구글 검색로봇이 좋아하는 스타일로 글을 작성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사람들도 각 지역 사투리를 사용하면 서로 못알아듣기 때문에 서로 쉽게 알아들을 수 있도록 표준어를 사용하듯이, 인간의 언어를 구글 로봇이 알아듣기 쉽도록 구글로봇이 원하는 스타일로 글을 쓰는 것을 구글 검색엔진 최적화 (Search Engine Optimization)라 합니다. 어렵지 않죠. 간단하게 말해서 구글 로봇이 알아듣기 쉽도록 글을 써주는 것을 구글 seo라는 어려운 말로 표현할 뿐입니다. 

 

 

google seo h1 태그 티스토리 2개

SEO 모범 사례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웹 페이지당 하나의 H1 태그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H1 태그는 일반적으로 페이지의 주요 제목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검색 엔진이 전체 주제나 테마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단일 페이지에 여러 개의 H1 태그가 있으면 콘텐츠의 주요 초점에 대해 검색 엔진이 혼동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제목과 게시물 제목이 모두 H1 태그를 사용하는 Tistory와 북클럽 스킨의 경우 Google을 비롯한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두 개의 H1 태그가 반드시 심각한 불이익이나 순위 문제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페이지당 하나의 H1 태그를 갖는 권장 구조를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만 html 수정을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사용자가 아니라면 블로그 포스팅 제목 h1을 h2로 바꾸는 작업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티스토리 html 에서 h2 태그 소스

 

북클럽 스킨의 경우 본문에 제목1로 소제목을 넣으면 h2로 글이 작성됩니다. 이미 블로그 이름과 포스팅 제목에서 각각 h1를 사용하여 2개의 h1 태그를 사용했다고 표시가 될 것입니다.  저는 그냥 h1 태그를 무시하고 본문에서 제목 1 (h2) 태그로 시작합니다.  구글 자료를 찾아보면 h1 태그, h2 태그, h3 태그를 순차적으로 잘 묶어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만 좋은 콘텐츠를 h 태그 때문에 발굴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좋은 글을 많이 쓰는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h 태그가 중요하기에 가급적 서론, 본론, 결론 식으로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티스토리 북클럽 스킨, 구글 블로그스폿 에센스 스킨

  • 북클럽스킨 본문 제목1 (h2) 사용시작
  • 블로그스폿 주제목 (h1) 사용시작

티스토리는 앞에서 정리했듯이 h1 태그가 2개 나타나지만 그냥 무시하기로 했습니다.  본문은 제목 1 (h2)로 시작합니다.  블로그스폿 경우는 본문의 주제목이 (h1) 이기에 블로그 제목과 곁 치는 것 같은데 헷갈려서 그냥 주제목 (h1)으로 사용 중입니다.  seo 가 중요하다고 하지만 구글 seo 모르고 그냥 막무가내로 글을 발행했던 몇 개월 전 글이 검색 트래픽은 적지만 구글 첫 페이지에 올라간 경우도 있는 걸로 봐서 꼭 h 태그를 정확하게 활용하는 게 상위랭킹의 절대적 요소는 아닌 것 같습니다.  

 

■ 마무리하면

 

일단 글을 많이 쓰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자신만의 키워드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키워드를 탐색할 수 있는 잡블로그가 필수라 생각합니다.  유입된 키워드와 연관 키워드를 분석해서 예상되는 키워드를 찾아서 집중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을 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