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축하를 해줘야 하는데 고민이 됩니다. 축의금을 얼마를 하는 게 좋을까요? 친밀도에 따라서, 식사를 하고 오는가에 따라서, 함께 가는 동행 유무에 따라서 등등. 얽힌 인간관계와 사회적 위치를 고려해서 축의금을 결정해야 하는 걸까요?
1. 3,5,7 시대는 끝났다?!
라테시대의 선배들은 3,5,7로 축의금을 냈다고 합니다. 기본 3으로 보통 5면 적당했고, 7이면 어느 정도 면을 세우는 거라 했죠. 10만 원을 하면 아주 괜찮다는 평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요즘 어디 그런가요. 물가도 많이 올랐습니다. 식장비용, 식사비용도 올라서 축의금도 상향조정 된 거지요.
2. 기본 10?! 식사비 5
신문기사에 재미난 얘기가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겹치는 일이 있어서 배우자와 함께 결혼식장에 방문했을 경우, 축의금을 얼마로 해야 할까 문제였습니다. 둘이서 밥을 같이 먹었다면 10만 원은 해야 한다는 의견이 80%, 15만 원을 내야 한다는 의견이 20% 를 차지했습니다.
이 의견을 잘 들여다보면 사회생활을 어느 정도 한 경우라면 10만 원을 기본으로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부인의 식사비 5만 원을 더해서 15만 원 정도로 생각하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이번에는 미혼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결혼정보회사 듀오에서 설문조사한 내용입니다. 평균 축의금 액수는 7만 9천 원이고, 5만 원이 48%, 10만 원이 40% 를 차지했습니다. 미혼남녀가 사회초년생인지 어느 정도 사회생활을 한 것인지 알 수가 없지만, 기본 5에서 기본 10만 원 쪽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부담스러운 축의금
우리의 결혼문화에서 축의금이 차지하는 의미는 축하와 품앗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지만 물가상승으로 점점 하객들도 부담스러워집니다. 이제는 소규모로 꼭 필요한 분들과 조용히 기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4. 정리하면
기본 최소 5만 원으로 시작해서 식사까지 하는 경우, 사회생활을 어느 정도 한 경우라면 10만 원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또한 부모님까지 알고 가족끼리 교류가 있는 경우라면 20만원 정도는 해야되는거라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한 달에 결혼식이 3,4개씩 몰리는 경우라면 요즘 같은 불황에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금액입니다. 결혼식 축의금에 대한 기사를 보면서 생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한량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또 당첨 번호 3개 맞으면? 인터넷 동행복권 로또 첫 구입 당첨 (0) | 2023.01.08 |
---|---|
비행공포증 예방법 5가지, 일본 항공기, 폭발물 신고전화 긴급 착륙 (0) | 2023.01.07 |
로또 판매점 대신 인터넷 구매한도, 동행복권 사이트 구입방법 (0) | 2023.01.07 |
숫자 나오는 꿈, 인터넷 로또 구입 (0) | 2023.01.07 |
초음파 가습기 단점, 내돈내산 사용후기 (0) | 2023.01.06 |